티스토리 뷰
본 게시물은 Youtube 생활코딩 GIT 파트에 해당되는 내용을 참고하여 게시한 내용입니다.
코딩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Commit을 하다가 만약에 현재 버전이 맘에 들지 않거나, 해당 프로젝트를 모두 갈아 엎을 경우에 자신이 원하는 버전으로 돌아가고 싶고 해당 버전 이후에 내용을 삭제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여기에서는 title 추가 버전으로 돌아간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제일 쉬운 방법은 자신이 돌아가고싶은 버전을 선택하고 오른쪽 클릭을 하고, Reset master to this commit를 선택합니다.
자신이 선택한 이후의 버전들과 아직 commit 되지않은 버전들 모두 사라지게 됩니다.
그리고 자신이 작성한 코드를 보게되면 기존의 README.md 파일도 사라지고 title 추가 버전으로 돌아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자신이 원하는 버전으로 돌리면서 이후에 commit 된 내용을 유지 시키고 싶다면?
자신이 돌아가고싶은 버전을 선택하고, Reset master to this commit를 선택
Mixed 를 선택하게되면 이후에 버전들은 Uncommited chages 로 변하게 됩니다.
Reset 하는 방법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Mixed, soft, 그리고 Hard 3가지가 있습니다.
이부분에 대해서는 나중에 더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출처:https://www.youtube.com/watch?v=tV8DZlzdYd4&list=PLuHgQVnccGMCB06JE7zFIAOJtdcZBVrap&index=10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8.Git - 브랜치(Branch) (0) | 2018.12.27 |
---|---|
7. Git - Revert (0) | 2018.12.26 |
5. Git - 되돌리기 : 수정사항취소하기 (0) | 2018.12.26 |
4. Git:버전만들기(Commit) (0) | 2018.12.21 |
3. Git 저장소 만들기 (0) | 2018.12.21 |